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2)
[BIG CHAT] 바이브 코딩으로 취업 준비하는 방법 "바이브 코딩으로 취업 준비하는 방법"안녕하세요!3번째 빅챗에서는 AWS에서 근무를 하시다가 최근에 퇴사하시고 바이브코딩 관련 강좌를 만들고 계시는 정도현님의 발표를 듣게 되었습니다! 😀최근 스터디원들과 함께 “이력서 기반으로 맞춤형 기술 면접 질문을 추출해주는 서비스”를 바이브 코딩으로 프로젝트 진행하고 있었는데 마침 딱 바이브 코딩 관련한 빅챗이어서 더더욱 기대가 되었습니다. 👨‍💻 아래는 발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의 정리를 통해 “회사에 지원할 때 어필할만한 프로젝트를 어떻게 바이브 코딩을 통해 만들어가는지 방법”에 대해 인사이트를 얻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 )[ 변화하는 채용 시장의 현실 ]최근 개발자 채용 시장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AI와 ML, 데이터센터 직군은 여전히..
[스터디 후기] 취준생/주니어를 위한 성장 스터디 🌱 안녕하세요! "취준생/주니어를 위한 성장 스터디"에 참여한 경험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무엇보다 먼저, “취준생과 주니어 개발자들”을 위해 귀한 시간을 내어 스터디를 개설해주시고 운영해주시는 “멘토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스터디 구성 ] 현재 총 14명의 참여자들과 멘토님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저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데이터베이스 주제 중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 스터디 진행 방식 ]📚 학습 방법각자 선택한 파트(스프링 프레임워크 or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블로그 형태로 정리데이터베이스 참고 도서 : (새로 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솔루션 1)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562334draw.io를 활용한 시각화 자료 ..
[학습방법] EdrawMind를 활용한 트리 구조 학습법 스터디에서 김근수님께서 하시고 계시는 정리 방법이 너무 좋다고 생각하여 배운 것을 공유합니다! 😆적용 시 참고하면 좋은 블로그입니다! (김근수 멘토님 블로그입니다!)Enlightenment 도구 소개: EdrawMind📥 다운로드공식 사이트: https://www.edrawmind.com/download-desktop.html권장 버전: 데스크톱 앱 버전 (웹 버전보다 훨씬 우수한 성능과 기능 제공) 🎯 핵심 장점직관적인 단축키 시스템으로 빠른 작업이 가능합니다.엔터키: 같은 레벨에 새로운 노드 추가탭키: 하위 레벨로 들여쓰기 (트리 구조 생성)마우스 클릭 없이도 키보드만으로 효율적인 트리 생성 가능 올바른 구조화 방법📊 형태: 트리 구조 vs 마인드맵"마인드맵 형태: 중심에서 사방으로 퍼지는 구..
[BIG CHAT] 9기 합류 후 첫 빅챗에 참여하다! 안녕하세요!AUSG 9기가 되고 처음으로 빅챗에 참여했습니다! 저번 6월에 있었던 퍼블릭 빅챗에서 기술적인 인사이트를 얻고 빅챗의 가치를 몸소 느꼈습니다. 정말 매번 AUSG 사람들보면서 정말 대단했는데 운이 좋게 AUSG 9기에 합류하게 되어 빅챗에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 빅챗 전날에 OT에서 뒷풀이에서 너무 신나게 놀았던 나머지.. 저는 빅챗 뒷풀이는 참석을 못했습니다ㅜㅜ (아쉬워요ㅜㅜ) AUSG 분들은 정말 대단한 체력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나름 에너지윤이라고 했는데 저보다 더 대단하신 분들이 너무 많으신 것 같아서 분발해야겠습니다!! 이번 빅챗의 주제는 2가지로, (1) “VLM이 터트린 Vision Task의 동향” (2) “AUSG는 좋은 커뮤니티일까?”..
[환비] gRPC 도입기: 송금 서버 오케스트레이션 구조와 성능 개선 도입은행의 서비스를 OpenAPI 형태로 제공하는 프로젝트에서 송금 API를 맡아 개발했습니다. 이때,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고민했던 부분과 gRPC 통신 방식을 선택한 이유, 그리고 부하 테스트를 통해 확인한 정당성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1. 왜 서버를 분리했는가?기존에는 하나의 서버에서 송금 로직 전반을 처리하고 있었지만, 실제 운영 중 입금, 출금, 송금 기능은 성격이 뚜렷하게 달랐고, 특히 트래픽 패턴도 서로 상이했습니다.예를 들어, 저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계좌를 등록할 때 0원을 입금하여 소유자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로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입금 기반 인증은 계좌 등록 요청이 대규모로 몰릴 경우 입금 처리 서버에 집중적인 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이에 따라 저희는 송금 기능..
[데보션] OpenLab 성장 스토리 후기! 안녕하세요! 8월에 있었던 세미나 후기 뒤늦게 블로그에 업로드합니다!오랜만에 T타워에 방문하여 “OpenLab 성장 스토리”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 ‘주제 중 잘 모르는 주제들이 있었는데 잘 이해할 수 있으려나?’ 라는 고민이 있었지만 발표자님들의 명쾌한 설명 덕분에 해당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  약 3개월정도 공부하신 내용들을 압축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서 스터디를 참여하지 않았어도 해당 내용에 대한 스터디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데모 부스에서 프로젝트를 직접 체험하며, 설명자분들의 열정적인 설명에 감탄했습니다. '데모는 이렇게 해야 하는구나'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9개의 주제에 대한 간략한 내용과 느낀점입니다! 💙1..
[완독 후기]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정리 및 후기 라꾸라꾸 프로젝트를 하면서 진행했던 스터디가 거의 2년째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가상면접 사례로 보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책을 선정하여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각자 책을 읽고 요약본을 정리한 후 발표했습니다. 이때,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은 ChatGPT를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정리했습니다!  📘 느낀점어떤 상황을 주고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해봐라라고 하면-> 이에 대한 대답으로 4단계를 나누어 "문제 정의 -> 대략적 설계 -> 상세 설명 -> 추후 고려해야할 점"으로 나눠 설명하는 구조였습니다. 1대의 서버에서 시작하여 어떻게 분산구조로 확장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그리고 책을 읽기 전 시스템을 설계할 때 막막한 경우가 많아 비슷한 서비스의 설계를 참고하곤 했는데 이..
[정처기] 정처기 합격 후기 및 팁! 정처기는 필수는 아니지만 있으면 좋다라는 말을 들어서 딸 생각이 없다가 급하게 따고 싶은 마음이 생겨 준비했고 드디어 합격했습니다!만약 고민하시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처기는 필기와 실기로 나뉘는데요, 필기는 모든 문제가 선택형이고 실기는 모든 문제가 서술형입니다. 그리고 필기를 합격해야만 실기를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필기 합격 2년 이내에 실기를 합격해야 정처기 자격증을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5월 10일에 필기를 응시했고 7월 29일에 실기를 응시했습니다. 각각 어떻게 준비했는지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필기 준비 당시 저는 시험까지 일주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취소 자리 잡을 때 서울에 자리가 없어 대전에서 시험을 보게되었어요ㅜ..
[백준] 26009 험난한 등굣길 https://www.acmicpc.net/problem/26009 💡문제 분석 요약출발지점이 주어지고 도착지점까지 최단 시간에 가는 방법구하기이때, 장애 구간을 피해서 가야한다.장애지점(Ri, Ci)과 거리(Di)가 각각 주어진다.→ (Ri, Ci)로부터 거리가 Di 이하인 거리가 모두 장애 지점이 된다.이때, 두 칸 (R1, C1), (R2, C2)사이의 거리는 |R1 − R2| + |C1 − C2|와 같다.[입력 조건]첫째 줄에 격자의 크기 N, M이 주어진다. (2 ≤ N, M ≤ 3,000)다음 줄에 정체 구역의 수 K가 주어진다. (1 ≤ K ≤ 3,000)다음 K개 줄에 걸쳐 각 정체 구역의 정보 Ri, Ci, Di가 주어진다. (1 ≤ Ri ≤ N, 1 ≤ Ci ≤ M, 0 ≤ Di ≤ ..
[백준] 가희와 은행 22234 (라운드로빈) https://www.acmicpc.net/problem/22234💡문제 분석 요약상황은행원이 있고 은행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사람들이 여러 명있다.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며 이때, 다 업무를 처리하지 못한다면 다시 줄을 서야한다.출력0~W-1초 동안에 각 초에 어떤 사람의 업무를 보고 있었는지 id를 출력한다.이 문제는 매우 좋은 문제인 것 같다. 왜냐하면 OS에 나오는 CPU 스케줄링 방식 중 라운드로빈 방식과 매우 유사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로직을 생각해보는 문제이기 때문이다.모든 사람들에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일정한 시간이 똑같이 주어지고 그 시간 안에 해야하는 업무들을 다 끝내지 못한다면 다시 큐에 들어간다는 점이 “라운드로빈”과 유사하다. 참고) CPU 스케줄링이란?프로세스들은 CPU를 ..